포멜로빈의 원두를 본격적으로 사용하시기에 앞서 원두를 경험하실 수 있는 샘플을 제공합니다.
본 샘플은 최초 1회로 한정되며, 신청 방법 및 페이지, 안내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내사항
분류 | 원두 이름 | 특징 | 상세 페이지 |
---|---|---|---|
기본 블렌드 | 린넨 베이지 (Linen Beige) | 볶은 땅콩, 캐러멜 뉘앙스의 고소한 향미, 적절한 농도, 부드러운 질감. 포멜로빈의 오리지널 기본 블렌드로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라떼 등 다양한 메뉴에 활용이 가능합니다. 한국인에게 가장 익숙한 맛을 농밀과 조화로 고급스럽게 잘 표현해낸 원두입니다. | 바로가기 |
울 그레이 (Wool Grey) | 린넨 베이지보다 묵직하고 중후한 바디감, 다크 초콜릿 뉘앙스를 갖고 있습니다. 우와의 조화가 뛰어나 라떼에 사용했을 때 그 매력이 극대화됩니다. 강하지만 쓰지 않은 커피를 선호하시는 분들께 추천합니다. | 바로가기 | |
포멜로 클래식 (Pomellow Classic) | 높은 농도감, 다크 초콜릿, 흑설탕 뉘앙스, 강렬한 바디감이 특징입니다. 대용량 커피에서도 농밀함을 유지하며, 볶은 곡물 뉘앙스의 구수함을 찾는 분들께 추천가능합니다. | 바로가기 | |
린넨 베이지 클래식 (Linen Beige Classic) | 린넨 베이지의 고소함(볶은 땅콩)을 계승하면서 높은 농도감을 더해 양질의 대용량 커피(1L)까지 활용 가능합니다. 균형 잡힌 맛으로 높은 대중성을 지향하는 원두입니다. | 준비 중 | |
컨셉츄얼 블렌드 | 포멜로 블렌드 (Pomellow Blend) | 포멜로빈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블렌드입니다. 에티오피아 G1 등급의 스페셜티 생두를 사용하여 베리류(특히 보라색 계열)의 향미와 달콤함을 극대화하였습니다. 산미를 낮추고, 캐릭터(향미)를 강조하여 한국적인 조화를 이룬 스페셜티 블렌드입니다. | 바로가기 |
코튼 그라스 (Cotton Grass) | 케냐와 에티오피아 생두를 블렌딩하여 뚜렷하고 경쾌한 산미(주시, 레몬, 트리포컬)를 표현했습니다. 시원하고 산뜻한 느낌의 뉘앙스를 갖고 있습니다. | 준비 중 | |
싱글 오리진 | 코스타리카 (West Valley) | 코스타리카는 조청, 밸런스라는 키워드를 지니고 있으며 얕은 산도(2)로 적당한 바디감과 단맛 그리고 높은 균형감이 특징인 싱글 오리진입니다. | 바로가기 |
브라질 (Carmo de minas) | 브라질은 헤이즐럿, 볶은 깨, 고소를 키워드로 지니고 있으며 낮은 산도(1)를 기준으로 단맛과 균일성을 특징인 싱글 오리진입니다. | 바로가기 | |
엘살바도르 (El Basamo) | 엘살바도르는 플로럴, 꿀이라는 키워드를 지니고 있으며 얕은 산도(2)로 단맛과 바디감, 좋은 밸런스를 지닌 싱글 오리진입니다. | 바로가기 | |
과테말라 SHB (Guatemala Huehuetenango) | 과테말라는 카카오, 카라멜이라는 키워드를 지니고 있으며 낮은 산도(1)로 적절한 단맛과 밸런스, 높은 향과 맛의 지속성과 균일성이 특징인 싱글 오리진입니다. | 바로가기 | |
케냐 AA (Kenya AA) | 케냐 AA는 토마토, 자두, 쥬시를 키워드로 지니고 있으며 높은 산도(4)로 적절한 균형과 단맛, 비교적 낮은 바디감이 특징인 싱글 오리진입니다. | 바로가기 | |
에티오피아 G2 워시드 (Yirgacheffe Washed) | 에티오피아 G2는 레몬, 자스민이라는 키워드를 지니고 있으며, 높은 산도(4)로 높은 클린 컵(순수한 맛)과 맛과 향의 조화가 특징인 싱글 오리진입니다. | 바로가기 | |
에티오피아 G1 내추럴 (Gedeo zone Natural) | 에티오파이 G1 네추럴은 딸기, 꿀을 키워드로 지니고 있으며, 적정한 산도(3)로 높은 향미와 밸런스, 향기와 향미가 특징인 싱글 오리진입니다. | 바로가기 | |
디카페인 (Decaffeination) | 농밀한 디카페인을 목표로 디카페인에서도 진한 커피의 맛과 향을 즐길 수 있습니다. 드립 및 에스프레소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바로가기 | |
기타 | 주간 원두 (Weekly Bean) | 매주 새롭게 선보이는 싱글 오리진 원두입니다. 라이트, 다크 등 다양한 로스팅 방식과 새로운 방식의 가공, 산지, 품종 등을 실험하고 기존 원두를 재해석하는 등의 변화성을 추구합니다. 이를 통해 팔레트를 확장하고, 한국적인 커피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 준비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