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시장에서 투박하게 먹던 돼지 국밥을 자신만의 문법으로 해석하여 세계적인 발돋움에 성공한 옥동식(Okdongsik)은 맥락적 재해석의 대표적인 예라 볼 수 있다. Courtesy of Okdongsik.
창조성은 우리의 것과 세계의 것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를 두려움 없이 받아들여 포멜로빈만의 관점으로 새롭게 엮어내는 능동적인 재해석(Active Reinterpretation)입니다. 이는 과거의 전통을 계승하는 것이 아닌, 한국의 고유한 정서와 미감을 차용하여 동시대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무언가를 창조해 나가는 것에 있습니다.
포멜로빈의 창조적인 태도는 한국적인 것에 대한 깊은 자부심을 바탕으로, 세계의 다양한 문화와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융합하여 가장 '동시대적인' 한국의 커피 문화를 만들어가려는 능동적인 자세입니다.
한국의 미감은 다채로움에서 오는 조화에 있다. Courtesy of kocis.
한국 고유의 미감
창조성의 가장 단단한 뿌리는 바로 한국인의 삶 속에 녹아 있는 고유한 미감입니다. '농밀'과 '조화', '고소함' 이라는 미각적 경험부터 '정(情)'과 '환대' 라는 정서까지, 포멜로빈은 우리의 식문화와 정신을 창조의 가장 중요한 재료로 삼습니다.
일본의 다도 문화는 한국적인 커피를 구현하는데 많은 영감을 준 대목이다. Courtesy of Antique Alive.
세계의 선진 문화.
현대 스페셜티 커피의 다채로움, 일본 다도(茶道)의 깊이 있는 정신 등 세계의 앞선 문화를 적극적으로 탐구합니다. 중요한 것은 수동적인 수용이 아닌, 이를 한국적인 정서로 재해석하여 온전히 우리 것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김환기가 달항아리(Moon Jar)를 애정했던 건 그만큼 한국적이면서도 세계적이란 확신이 있었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Courtesy of Hwanki Museum.
한국적인 예술성.
커피는 때로 예술과 맞닿아 있습니다. 포멜로빈은 동시대 한국의 장인 및 예술가들과의 협업과, 다도로부터 발견한 한국적인 예술성을 브랜드에 투영하여 커피의 물성을 넘어선 예술적 영감을 얻고, 이를 통해 미학적 깊이를 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