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중 서울은 가장 변화에 민감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로 손꼽힌다. via. Frasers Hospitality

그중 서울은 가장 변화에 민감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로 손꼽힌다. via. Frasers Hospitality

시대성을 반영하는 건 응당 당연한 일입니다. 물론 고전적인 것을 재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장의 선택, 대중의 사랑을 받아야 하는 만큼 현 시장의 흐름을 반영하는 것도 단연 중요하겠지요. 그저 무게중심을 어디에 둘 것이냐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포멜로빈은 특정한 오리지널리티를 따르기보다는 한국적인 커피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시대성(Contemporary)**을 반영하고자 합니다. 쉽게 말해 현대적인 요소를 가미하겠다는 의미이지요. 그렇다면 현대적인 의미란 무엇인지, 포멜로빈이 반영하고자 하는 동시대성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며 한국적인 커피에 관한 내용은 매듭지을 수 있게 하겠습니다.

격변의 시대입니다. 많은 것이 쉽게 변하고 쉽게 사라지며, 무엇하나 안정적으로 그 자리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늘 이롭지 못하다고 볼 순 없겠죠. 그것은 순리이자 자연이며 그에 맞춰 연구하고 발전시키는 게 브랜드의 몫일 테니까요. 사실 국내 커피의 역사도 비슷한 맥락을 갖고 있습니다. 커피가 한반도에 상륙했을 당시에는 탄 듯한 쓴맛을 강요받다가, 스페셜티 커피가 유행하며 산미가 특별함을 대변해 주는 요소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얼마 걸리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후자를 현대 커피라고 정의하기로 했지요. 저희는 현대 커피가 지닌 특징을 존중합니다. 실제로 포멜로빈이 추구하는 조화(調和)의 영역에서도 산미는 매우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맛을 돋우고 균형을 잡는데 아주 혁혁한 공헌을 하지요. 그래서 저희는 현대 커피를 상징하는 산미라는 미감을 맛을 대표하는 것이 아닌 지향하는 맛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하나의 핵심적인 요소 정도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After exploring broth culture, depth, and harmony, today we turn to one last theme: reflecting the spirit of our time. While honoring tradition is important, we believe that embracing the present—its choices, its culture—is just as essential. It’s not about choosing one over the other, but about finding the right balance.

At Pomellow Bean, we don’t follow a fixed idea of originality. Instead, we shape Korean coffee with a focus on contemporaneity—infusing it with elements that speak to the here and now. In this final piece, we’d like to share what “contemporary” means to us, and how it completes our vision of Korean coffee.

We live in turbulent times—where things change quickly, disappear easily, and rarely stay still. But change itself is not the enemy. It is part of the natural flow, and it is our role as a brand to learn, adapt, and grow with it.

The history of coffee in Korea reflects this, too. In its early days here, coffee was often defined by harsh bitterness. But it didn’t take long for bright acidity—introduced through the rise of specialty coffee—to become the mark of something new, something modern.

We fully respect what is often called modern coffee. In fact, as we shared in our previous piece on harmony, acidity plays a crucial role—it sharpens, balances, and elevates flavor.

This is why we embrace acidity not as a trend, but as an essential element in how we express taste at Pomellow Bean.

송소희 님의 <NOT A DREAM>은 우리 국악이 세계로 뻗어 나아갈 수 있는 희망의 불씨를 보여주었다. via. Soundcloud

송소희 님의 <NOT A DREAM>은 우리 국악이 세계로 뻗어 나아갈 수 있는 희망의 불씨를 보여주었다. via. Soundcloud

저희가 이야기하는 현대적, 동시대성이란 전통적인 맛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현대 스페셜티 커피가 지닌 다채로운 캐릭터, 때로는 밝은 산미 등 긍정적인 특징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에 한국적인 미감으로 정의하는 농밀과 질감, 산미를 과하지 않게 조절하는 조화 등을 가미하여 재해석하는 것이 포멜로빈의 지향점입니다. 결국 “지금”, “여기” 한국에서 커피가 향유되는 “현재”의 모습에 집중하며, 이는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동시대적으로 흐르고 있는 트렌드와 감각을 반영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트렌드를 반영한다는 의미는 결국 변화성을 도모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되겠고요. 포멜로빈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커피 시장과 소비자의 니즈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한국적인 커피 역시 고정 개념이 아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진화하는 개념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건 마치 최근 송소희님이 국악을 새롭게 해석한 사례와 맥을 나누고 있다고 설명해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When we speak of “contemporary” or “modern” coffee, we don’t mean rejecting tradition—but rather embracing the diverse character of today’s specialty coffee, including its bright acidity and vibrant flavors.

At Pomellow Bean, our aim is to reinterpret these modern qualities through a Korean lens—shaping coffee that belongs to this moment, here in Korea, today.

To reflect the present is to accept change as part of the process. Trends shift, tastes evolve—and we believe Korean coffee should grow and change alongside them, not remain fixed in place.

This approach shares a spirit with how artist Song Sohee has reimagined traditional Korean music for a new generation: honoring the past, while breathing new life into it.

영국을 대표하는 작가, 데이비드 호크니는 아이패드로도 작품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via. New York Times

영국을 대표하는 작가, 데이비드 호크니는 아이패드로도 작품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via. New York Times